
우선 이 책의 저자는 세계적인 베스트셀러인 <누가 내 치즈를 옮겼을까>를 지은 스펜서 존슨 이다. 아마도 이 책을 읽게 된 계기는 누가 내 치즈를 옮겼을까에 감명을 받은 느낌을 또 다시 기대하고서 읽었을 지도 모른다.
이 책은 제목 그대로 선택에 대한 내용이다. 어떻게 해야 올바른 선택으로 나아갈 것 인가. 그 선택에 따른 책임감을 부여시키고 좋은 선택에 관한 방향을 가르쳐 주는 책이다. 이 책의 이야기는 어느 한 청년, 어떻게 해야 좋은 선택을 내릴 수 있는지에 항상 고민하는 그 청년이, 어느 한 산행 모임에 참여하면서 겪는 이야기다. 그 모임에 있는 사람들 중 산악인이자, 큰 사업가로 성공한 어느 남자가 이 책의 중요한 핵심을 얘기해 주고 있다. 낯선 산행을 오르는 그 청년에게 이 남자는 자기의 성공비결을 얘기해주면서 선택이라는 아주 중요한 난관을 거쳐야 비로소 성공할 수 있다는 얘기도 빼먹지 않는다. 예상대로 이쯤에서 선택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한다.
이 남자는 좋은 선택이라는 것에 도달하는 것이 결코 쉽지 않다는 걸 알기에, 표를 만들어서 선택한다고 하였다. 일명 Yes No시스템이라는 것인데, 이것은 크게 두 부류로 나눠지는데 실제적인 질문과 개인적인 질문으로 나눠진다. 처음에 이 시스템을 접하면서 나도 굉장히 혼돈스러웠다. 이게 뭐 어떻게된다는거지? 그러나 차차 이 시스템의 효과는 놀라워진다는 걸 느낄 것이다. 실제적인 질문이라는 것은 차가운 머리로써, 개인적인 질문이라는 것은 따뜻한 가슴으로써, 이 두 부분이 합침으로써 더 나은 결정을 한다는 뜻이다. 그리고 분명한 건 자기 자신에게 되묻고 또 되물어야 한다는 것! 한마디로 말해 Yes No 시스템은 어떤것이 분명하게 자기에게 옳은것인가 나쁜것인가를 따져야 한다는 것이다. 필요한것과 필요하지 않는것에대한 뚜렷한 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.
인생은 항상 선택의 연속이다. 이 연속을 제대로 된 방향으로 이끌기 위해서 좋은 선택을 해야한다는 것은 중요한 것이다. 이 책은 좋은 선택으로 이끌어 주기 위해 좋은 조언들이 굉장히 많이 있다. 하지만 내가 끝에 깨달은 결론은 선택은 결국 자기의 선택이므로 , 그 선택에 따른 결과는 받아들이는게 현명한 것이다. 지금도 우린 많은 선택의 기로에 놓여져 있는 게 사실이다.
좋은 선택이란 무엇일까? 솔직히 말해 이 책을 읽고도 난 좋은 선택이 뭔지 잘 모르겠는게 사실이다. 왜냐하면 각자 살아가는 방식도 다르고 처해진 환경도 다르기 때문에 좋은 선택이라는 정의는 존재하지 않는 것 같다. 하지만 이 책을 읽음으로써 좋은 선택이 뭔지 약간은 알게 된 것 같다. 뚜렷한 목표의식을 가지고 어떤 길을 선택 한다면 그건 100%는 아니겠지만 99%는 좋은 선택이라고 생각한다. 좋은 선택을 하는 방법에 연연하기 보단, 정말 자기에게 필요한 것들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고 선택하는 것이 더 중요한것 같다.
이 책은 제목 그대로 선택에 대한 내용이다. 어떻게 해야 올바른 선택으로 나아갈 것 인가. 그 선택에 따른 책임감을 부여시키고 좋은 선택에 관한 방향을 가르쳐 주는 책이다. 이 책의 이야기는 어느 한 청년, 어떻게 해야 좋은 선택을 내릴 수 있는지에 항상 고민하는 그 청년이, 어느 한 산행 모임에 참여하면서 겪는 이야기다. 그 모임에 있는 사람들 중 산악인이자, 큰 사업가로 성공한 어느 남자가 이 책의 중요한 핵심을 얘기해 주고 있다. 낯선 산행을 오르는 그 청년에게 이 남자는 자기의 성공비결을 얘기해주면서 선택이라는 아주 중요한 난관을 거쳐야 비로소 성공할 수 있다는 얘기도 빼먹지 않는다. 예상대로 이쯤에서 선택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한다.
이 남자는 좋은 선택이라는 것에 도달하는 것이 결코 쉽지 않다는 걸 알기에, 표를 만들어서 선택한다고 하였다. 일명 Yes No시스템이라는 것인데, 이것은 크게 두 부류로 나눠지는데 실제적인 질문과 개인적인 질문으로 나눠진다. 처음에 이 시스템을 접하면서 나도 굉장히 혼돈스러웠다. 이게 뭐 어떻게된다는거지? 그러나 차차 이 시스템의 효과는 놀라워진다는 걸 느낄 것이다. 실제적인 질문이라는 것은 차가운 머리로써, 개인적인 질문이라는 것은 따뜻한 가슴으로써, 이 두 부분이 합침으로써 더 나은 결정을 한다는 뜻이다. 그리고 분명한 건 자기 자신에게 되묻고 또 되물어야 한다는 것! 한마디로 말해 Yes No 시스템은 어떤것이 분명하게 자기에게 옳은것인가 나쁜것인가를 따져야 한다는 것이다. 필요한것과 필요하지 않는것에대한 뚜렷한 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.
인생은 항상 선택의 연속이다. 이 연속을 제대로 된 방향으로 이끌기 위해서 좋은 선택을 해야한다는 것은 중요한 것이다. 이 책은 좋은 선택으로 이끌어 주기 위해 좋은 조언들이 굉장히 많이 있다. 하지만 내가 끝에 깨달은 결론은 선택은 결국 자기의 선택이므로 , 그 선택에 따른 결과는 받아들이는게 현명한 것이다. 지금도 우린 많은 선택의 기로에 놓여져 있는 게 사실이다.
좋은 선택이란 무엇일까? 솔직히 말해 이 책을 읽고도 난 좋은 선택이 뭔지 잘 모르겠는게 사실이다. 왜냐하면 각자 살아가는 방식도 다르고 처해진 환경도 다르기 때문에 좋은 선택이라는 정의는 존재하지 않는 것 같다. 하지만 이 책을 읽음으로써 좋은 선택이 뭔지 약간은 알게 된 것 같다. 뚜렷한 목표의식을 가지고 어떤 길을 선택 한다면 그건 100%는 아니겠지만 99%는 좋은 선택이라고 생각한다. 좋은 선택을 하는 방법에 연연하기 보단, 정말 자기에게 필요한 것들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고 선택하는 것이 더 중요한것 같다.
2 comments:
와우! 이 책 저번에 서점에서 본 적 있는데 ㅎㅎㅎ 너네집에 있나? 나도 좀 빌려죠 ^.^ 이 책이랑 누가 내 치즈를 옮겼을까? 책이랑 비슷하더나? 나는 누가 내 치즈를 옮겼을까? 가 별로 감명 깊지 않던데........ㅜㅜㅎㅎㅎㅎ
난 누가 내치즈를 옮겼을까? 대게 감명깊엇어 ㅋㅋㅋ 접때 여름방학때 이책에서 배운걸로 맨날 적용하면서 살앗지 ㅋㅋ
근데 이 작가가 너무 비슷한 방향으로 나가서 여러권 읽엇더니 그얘기가 그얘기인듯 ㅋㅋㅋㅋ 하지만 뚱어니의 글쓰기실력이 점점 실력이 업업 되는건 부인할 수가 없구나! ㅎㅎㅎㅎ
Post a Comment